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6)
"탄소중립 녹색성장 시대, 서울시 의회의 역할과 방향은?" 서울시의회가 제1차 서울특별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후, 의회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서울시 탄소중립지원센터의 자료가 그래프와 도표로 잘 설명되어 있어 공유합니다. 함께 발표했던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의 자료도 함께 올려둡니다.
[알고싶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노후 원전 수명 연장, 신규 원전 4기 건설, 재생에너지는 그저그렇게... 5월 3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을 발표했습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마다 수립하고 15년(11차 전기본 2024~2038년) 동안의 중기계획인데요,전력수급의 기본방향과 장기전망, 발전설비 계획, 전력수요 관리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부는 경제성장, 기후변화, 산업구조와 인구변화 전망 등을 고려하고, AI 사용 확장에 따른 반도체와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해2038년 최대 전력수요는 129.3GW로 전망했으며, 적정예비율(22%)까지 고려해 2038년까지 필요한 설비는 157.8GW로 설정했습니다.여기에 재생에너지 실효용량 13GW(보급량 120GW)를 감안하면, 확정설비는 147.2GW인데,  현재 설비에서 10.6GW의 발전설비가 추가로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2024.05.),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쉬운정책]서울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계획 ⑧ 폐기물, 에너지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천4백8천톤(5,408천톤)으로서울시 전체 배출량의 11.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런데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저희가 버린 종량제봉투에 담긴 쓰레기도 선별해 재활용할 것을 구분하고,재활용할 수 없는 나머지는 전부 소각해서 타고 남은 재만 매립하도록 하고 있어요. (참고로 노원구에는  '서울노원자원회수시설'https://rrf.seoul.go.kr/content/bcrec231.do이 있어,중랑, 성북, 강북, 도봉, 동대문, 노원구의 폐기물을 모아 소각처리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렇게 서울시에서 배출되는 모든 폐기물을 소각처리해야하므로,2026년부터는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온실가스배출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폐기물의 원천감량..
노원구 건물 온실가스 감축에서 주민의 적극적 참여가 중요한 이유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이상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인류가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1.5℃ 이상 기온이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인류에게 허용된 온실가스의 양을 탄소예산이라 부릅니다. 지금과 같이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2030년 초반에 탄소 예산이 바닥날 것이라고 환경운동가들은 경고합니다. 따라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만큼이나 현재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가능한 줄여나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노원구와 같은 대도시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크게 직접 연료를 사용하여 난방이나 요리를 하거나 자동차를 운전할 때 배출하는 직접 배출(이를 scope1이라 부름)과 전기나 지역난방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에너지를 만들 때 배출된 온실가스의 일정량에 대..
[쉬운정책]서울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계획 ⑦ 수송부문 탄소중립 오늘은 서울시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감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수송부문은 2021년 기준 서울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8.1%를 차지고하고 있으며 2005년 21.7%에 비해 감소했습니다.배출량도2005년 1천6십3만7천톤(10,637천톤)에서 7백5십7만5천톤(7,575천톤)으로 감소했는데요,차량 효율개선과 전기차 보급 확대로 수송부문의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하지만 석유에서 전기로 연료전환이 가속화될 예정이라 그에 따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서울시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방향은 내연기관을 친환경차량으로 전환하고,대중교통과 자전거 중심의 그린 모빌리티 공간을 구축하며, 시민 참여를 통해 대중교통 확대하고 자가용 수요관리를 추진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차보급..
[쉬운정책]서울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계획 ⑥ 건물부문 탄소중립 건물부문은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달성에 핵심적인 부문입니다.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의 66.5%를 차지하면서 서울시 자체가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는 공공건물을 제로에너지건물(ZEB, Zero Energy Building)로 전환하고,민간건물은 에너지효율화사업을 위한 융자금과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탈탄소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8년 3천3백5만8천톤(33,058천톤) 배출했던 온실가스 배출량을2030년까지 2억5천9백만6천톤(25,906천톤)으로 감축 목표를 세웠습니다. 2018년보다 약 22%감축 예정입니다. 건물에너지부문에서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금보다 더 빠르게 진행하다면 훨씬 더 감축량은 많아질 겁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공건물 제로에너지화 사업 지속하면서..
[쉬운정책]서울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계획 ⑤ 비전과 목표 서울시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어떤 비전과 전략을 가지고 있을까요?  서울시는 시민과 함께 내일을 키우는 '2050 탄소중립 도시'  라는 비전을 세우고, 5가지 전략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과학에 기반해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시행하는데 시민·기업·국제사회와 연대해서 실천하고  혁신으로 선도할 수 있는 기후테크를 활성화하는 한편, 자원을 순환해서 사용하는 생태도시를 조성해,포용적이고 안녕할 수 있도록 삶의 질을 고양하려고 합니다.  좋은 말은 다 써 놓은것 같죠? @@  2050 탄소중립을 추진하면서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많은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업과 시민과 함께 실천하면서 쓰레기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인다는 이상적인 전략이한편으로는 꼭 필요한 부분인것 같아요.이상이..